디자인의 요소
◈ 점
․ 기하학 - 크기가 없고 위치만 있음
․ 디자인상의 점 -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짐
점의 크기는 주변 환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지각됨
․ 점은 선의 양끝, 선의 교차, 선의 굴절, 면과 선의 교차에서도 나타남
․ 공간에 한 개의 점이 주어지면 집중효과가 생김
․ 두 점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힘이 생기고 네거티브(negative)한 선이 암시됨
· 점이 3개일 때는 굴절된 선(negative한 선)과 negative한 면이 암시됨
· 크기가 같은 여러 개의 점이 같은 조건으로 집결되면 평면감을 줌
· 점의 대(大)소(小) 관계에서 긴장은 큰 점에서 작은 점으로 옮겨가며,
시선은 작은 점에서 큰 점으로 옮겨감
· 여러 개의 크고 작은 점이 집결될 때 동적인 느낌이 나타남
◈ 선
․ 기하학 - 길이의 개념은 있으나 넓이(폭), 깊이(부피)의 개념은 없다.
․ 점이 이동한 궤적이다.
․ 시각적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선의 형상에 따라 감정적인 효과를 가짐.
․ 포지티브(positive)한 선과 네거티브(negative)한 선으로 구분
․ 가는선 - 예리하고 날카롭다.
․ 굵은선 - 힘차고, 남성적, 둔하고 우직하다.
․ 가는 지그재그선 - 신경질적이고 불안하고 초조하다.
․ 굵은 지그재그선 - 강렬한 움직임, 폭발, 힘의 강도를 느끼게 한다.
* 직선 - 남성적, 경직성, 명확성, 단순성, 긴장감, 직접적 표현
․ 수직선 - 구조적인 높이와 힘을 내포
긴장감, 상승감, 엄숙함, 존엄성, 고결함, 경건함, 신앙, 희망
직립-중력의 평형상태-인간적인 조건은 따뜻한 이미지
․ 수평선 - 안전하며 차분하고 편안한 느낌, 평화, 정지, 안정감, 친근감, 안락감
낮고 긴 선형의 가구, 걸레받이, 천정 반자돌림 등
안정되고 고착되어 있다는 느낌으로 차가운 이미지
․ 사선 - 운동, 변화, 활동적인 느낌, 생동감, 의도적인 움직임, 불안정감
실내의 조형표현에 효과를 줌
* 곡선 - 여성적, 유연함, 우아함, 섬세함, 부드러움, 미묘함
․ 기하곡선 - 정돈된 이지적 표정
․ 자유곡선 - 개방적, 감정이 풍부, 경쾌한 느낌
․ 원 - 충실감
․ 타원 - 유연한 표정
․ 포물선- 유선형과 비슷, 스피드감
․ 쌍곡선 - 대칭적, 균형 잡힌 아름다움, 현대적인 표정
▶곡선만으로 장식된 방은 지루하며 실내에서 과다한 선이 구사되면 불안정 하다.
◈ 면
* 평면: 단순하고 직접적인 표정, 현대조형의 간결성 표현
․ 삼각형: 안정된 느낌, 역삼각형은 극도의 불안정한 느낌
․ 사각형: 다정한 느낌, 정방형은 엄격함, 딱딱함
․ 마름모형: 안정감과 경쾌함
․ 다각형: 풍요한 느낌, 변의 수가 많으면 곡선적 성질에 가까움
․ 원형: 단순하고 원만한 느낌
․ 타원형: 온화하고 부드러운 느낌
* 곡면: 온화, 유연하며 동적인 표정
․ 기하곡면: 정연하고 이지적인 표정
․ 자유곡면: 분방하고 감정이 풍부한 표정
◈ 공간
공간은 점 ․ 선 ․ 면의 구성으로 이루어짐
* 규칙적인 공간과 불규칙적 공간
․ 규칙적인 형태의 공간 : 자연스럽고 안정감이 있음
․ 불규칙적인 형태의 공간 : 변화가 많음
*보이드한 공간과 솔리드한 공간
․ 보이드(Void)한 공간 : 개구부가 넓은 공간
- 내부와 외부가 시각적으로 연속되어 개방적이며 경쾌한 느낌을 줌
․ 솔리드(Solid)한 공간 : 개구부가 작고 벽면의 면적이 큰 공간
- 중후한 느낌을 줌
* 적극적공간과 소극적 공간
․ 적극적 공간 : 칸막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공간
- 안정되고 편안한 느낌을 줌
․ 소극적 공간 : 칸막이에 의한 둘러싸임이 불완전하고 점과 선에 의해 암시된 공간
- 존재감이 약하나 감정이 풍부하고 미묘한 느낌을 줌
* 하드한 공간과 플라스틱한 공간
․ 하드한 공간 : 수직면, 수평면, 사면으로 구성된 공간
- 움직임이 부족하고 단정한 느낌을 줌
․ 플라스틱한 공간 : 곡면으로 구성된 공간
- 유연하고 자유분방한 풍요함, 친근감, 생동감을 줌
▶ 공간의 분할과 연결
* 공간의 분할
◎ 차단적 구획방법
- 칸막이에 의해 내부공간을 수평 수직으로 구획해서 몇 개의 실을 만드는 것
- 고정벽, 이동벽, 유리창문, 수납장, 커튼, 블라인드, 열주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방법
◎ 심리적 구획방법
- 완전히 공간을 분할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구, 낮은 칸막이, 기둥, 벽난로, 식물, 조각, 물, 바닥면의 변화, 천장면의 변화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공간을 구획, 분할하여 서로의 영역을 갖도록 하는 방법
◎ 지각적 구획방법
- 조명을 이용한 빛의 변화, 마감재료의 변화시켜 실이 양분되는 이미지를 갖게 하여 구획하는 방법
- 통로나 복도에 의하여 평면에 의한 공간형태의 변화시켜 공간을 구획하는 방법
* 공간의 연결
◎ 공간과 공간을 서로 직접 연결하여 전체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 (그림1)
◎ 공간과 공간사이에 사용목적이 같거나 유사한 공통공간을 두어 두 공간을 연결하는 방법 (그림2)
![endif]-->
(그림1) (그림2)
◎ 성격이 서로 다른 공간이 맞물려 있는 경우 두 공간 사이에 또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연결하는 방법 (그림3)
․ 공유공간은 매개 역할을 하여 공간을 서로 연결하거나 연관성을 같도록 함
◎ 큰 공간 속에 작은 공간을 포함하여 공간 속에 공간을 두어 연결하는 방법 (그림4)
․ 큰 공간과 작은 공간을 같은 형태로 하면 시각적, 공간적 연결이 용이함
․ 작은 공간의 형태가 다르면 그 이미지가 강하게 부각되어 상징적 성격을 가짐
![endif]-->![endif]-->
(그림3) (그림4)
◈ 빛
․ 내부공간에 투사된 빛은 구조체를 주변 환경에서 분리하여 그 존재를 돋보이게 하거나 연속되는 존재로 인식되게 한다.
․ 빛과 그림자는 공간의 깊이를 주고 텍스처의 조형효과를 높임 → 실내공간의 표정을 풍부하게 하고 생명감을 준다.
․ 실내공간에서의 빛은 공간을 한정한다.
․ 실내공간의 동선을 유도한다.
․ 실내공간에서의 빛은 공간의 성격을 변화시킨다.
예) 자연광 -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빛의 질이나 비치는 방향이 변한다. →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각되는 공간의 성격이 변화된다.
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반짝이는 빛 - 역동적인 에너지를 느끼게 한다.
부드러운 빛 - 포용성이 있는 편안함을 준다.
◈ 색채
* 색의 삼속성
․ 색상(Hue, 기호 H) - 빨강, 주황, 노랑, 초록, 파랑, 남색, 보라의 차례로 배치된 색의 종류
․ 명도(Value, 기호 V) -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, 반사율의 단계
․ 채도(Chroma, 기호 C) - 색의 선명도, 무채색을 많이 포함할수록 채도가 낮아지고 적게 포함할 수록 채도가 높아짐.
☞ 무채색은 색의 삼속성 중 색상과 채도가 없이 명도만 가짐.
유채색은 색상, 명도, 채도의 삼속성 모두를 가짐.
* 색의 혼합
◎ 가산혼합 (색광혼합)
․ 삼원색은 빨강, 녹색, 청자 - 빛을 혼합할수록 더욱 밝아지고 맑아짐
․ 3가지 빛을 모두 합하면 백색광(하양)
․ 무대조명, 컬러TV 등에 활용
◎ 감산혼합 (색료혼합)
․ 삼원색은 자주, 노랑, 파랑 - 색료를 혼합할수록 명도, 채도가 낮아짐
․ 색료의 삼원색을 모두 합하면 검정
* 색채의 대비와 동화
◎ 색상대비
- 색상환에서 인접하는 두 색을 동시대비 시킬 때 대비의 효과에 의해 그 두 색은 서로 반대방향 쪽의 색으로 보여짐으로써 색상의 차이가 커지는 현상
- 주황과 빨강을 대비시킬 때 주황이 본래의 색상보다 노랑이 더 많이 혼합된 것처럼 보이는 현 상
- 색상대비는 두 색상의 거리가 가까울 때 일어나는 대비
◎ 명도대비
- 명도가 다른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밝은 색은 더욱 밝게 느껴지고 어두운 색 은 더욱 어둡게 느껴지는 현상
- 두 색의 명도차이가 클수록 명도대비는 강하게 일어남
◎ 채도대비
- 채도가 다른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채도가 낮은 색은 더욱 채도가 낮아 보이며,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채도가 높게 느껴지는 현상
- 무채색 위의 유채색은 더욱 채도가 높아 보임
◎ 보색대비
- 두 색을 혼합하여 중간회색이나 검정색이 생길 경우, 이 두 색을 보색이라 함
- 이 두 색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립하면서 서로를 보완
- 인간의 눈은 어느 하나의 색이 주어졌을 때 스스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색의 보색을 요 구
◎ 동시대비
- 처음부터 보색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눈은 자연적으로 그 보색을 발생시키게 됨
- 두 색은 각각 상대의 색을 각자의 보색의 방향으로 옮겨놓으려는 경향
◎ 한난대비
- 따뜻한 색채는 차가운 색채와 함께 있을 경우 더욱 차갑게 느껴지고 차가운 색도 따뜻한 색채 와 있을 경우 그 호소력이 증가하는 현상
◎ 면적대비
- 면적이 커지면 명도, 채도가 증가되어 더욱 밝고 선명하게 보이며 면적이 작을수록 더욱 어둡 고 칙칙하게 느껴지는 현상
* 색의 지각
․ 적색계(적색, 황색, 오렌지색) - 따뜻하고 정열적, 동적, 전진
․ 청색계(청색, 녹색, 자주색) - 차고 냉정, 정적, 후퇴
․ 회색계(흑색, 회색, 백색) - 무감각이며 죽음, 영구불변, 점잔
* 색의 운동성
․ 색의 면적효과 - 색은 명도, 채도가 동일하여도 쓰이는 면적의 大小에 의해 달라져 보임,
면적이 큰 만큼 명도, 채도도 높아 보임
․ 색의 진출과 후퇴 - 명도가 높은 색은 전진(진출색), 낮은 색은 후퇴(후퇴색),
난색은 진출, 한색은 후퇴, 채도가 높을수록 진출하고 낮을수록 후퇴
․ 색의 팽창과 수축 - 명도가 높은 색은 팽창, 낮은 색은 수축, 난색은 팽창, 한색은 수축
* 색의 표정
․ 흥분색과 침정색 - 난색은 자극이 강하고 흥분감을 줌(흥분색),
한색은 자극이 약하고 침정감을 줌(침정색)
․ 부드러운 색과 딱딱한 색 - 명도가 높고 채도가 낮은 색은 부드러운 표정, 명도가 낮고 채도가 높은 색, 순색은 딱딱한 표정
무채색에서 백색과 흑색은 딱딱하고 회색은 부드러움
․ 사치스러운 색과 소박한 색 - 채도가 높은 색은 사치스럽고, 채도가 낮은 색은 소박한 표정,
난색은 사치스럽고, 한색은 소박함
․ 명랑한 색과 우울한 색 - 난색은 명랑한 표정, 한색은 우울한 표정,
명도가 낮고 채도가 낮으면 우울한 표정
․ 가벼운 색과 무거운 색 - 명도가 높은 색은 가벼운 표정
☞ 명도가 같아도 채도가 높은 색이 가볍고 낮은 색은 무거운 표정
◈ 질감(texture)
․ 물체를 만져보지 않고 눈으로만 보아도 그 표면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재질감
․ 재료마다 특유의 재질적인 느낌을 가짐
․ 재료의 특성과 그 재료가 가지는 질감의 효과를 동시에 고려
․ 질감은 색채와 명암을 동시에 고려했을 때 더욱 효과가 큼
․ 빛(광선)에 따른 질감의 효과는 매우 중요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대체 그 놈의 꾸준함이 어느정도를 말하는 건지 (0) | 2021.10.23 |
---|---|
SSC-X-9 스카이폴 저고도 반영구 핵추진 미사일 (0) | 2021.10.23 |
저속부밍소음 발생원인과 증상 (0) | 2021.09.18 |
이순신의 어린 시절 (0) | 2021.09.15 |
집을 떠난 후 바스키아는 여러 친구들의 아파트에 머물렀다. (0) | 2021.06.14 |
서평(독후감): 왜 어제처럼 사는가 - 박천웅 저 (0) | 2021.06.08 |
인터넷 마케팅의 전망 (0) | 2021.06.08 |
장 미쉘 바스키아 (Jean-Michel Basquiat) (0) | 2021.05.18 |
댓글